본문 바로가기
저장해야할 꿀팁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트럼프 천연가스 관련주

by 출국전 2025. 4. 18.
반응형

다시 등장한 트럼프, 이번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이에요

2025년 3월, 미국 의회 연설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아주 묵직한 발언을 했어요.

“알래스카에 세계 최대 규모 중 하나인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이었죠.

게다가 일본, 한국, 그리고 다른 국가들이 이 프로젝트에 수조 원씩 투자할 것을 기대한다는 언급까지 하면서 주식시장이 단숨에 술렁였어요.

 

아직 우리나라 정부나 대기업들은 조심스러운 입장이지만, 이미 관련 테마주는 급등세를 보이고 있어요.

과연 이 흐름이 단발성 이슈일지, 아니면 진짜 장기적인 테마가 될지 알아보는 게 중요하겠죠?

알래스카 천연가스 관련주 저평가주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어떻게 돌아가는 건가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이름만 봐도 느낌이 오죠.

알래스카 북부의 노스 슬로프 지역에서 채취한 천연가스를 남쪽 항구까지 1,300km 길이의 파이프라인으로 운송하고,

그곳에서 LNG로 액화해 한국, 일본, 대만 등에 수출하겠다는 계획이에요.

 

총 예상 투자금만 45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64조 원에 달하는 초대형 사업이에요.

사실 이 프로젝트는 2010년부터 논의되어 온 오래된 계획이지만,

트럼프가 다시 언급하면서 시장의 관심이 폭발한 거죠.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트럼프 천연가스 관련주

완공된다면 2031년부터 상업 가동이 가능할 거라고 하니,

단기보단 중장기 시선으로 접근해야 할 테마 같아요.

 

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도 많아요.

알래스카는 극한의 기후 때문에 1년 중 절반은 공사 자체가 어렵고,

경제성도 불확실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요.

일본 측 기업도 “수익성에 대한 의문이 크다”고 밝혔고,

한국 관계자 역시 “타당성이 없으면 굳이 참여할 이유는 없다”고 말했어요.

알래스카 관련주

우선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관련주는 동양철관이에요.

수도용 강관 전문 업체로, 해외 수출도 활발하게 하고 있어서 테마가 터지자마자 바로 상한가를 찍었어요. 

그 외에 화성밸브는 국내 1위 밸브 전문 제조사로, 가스관 연결 및 차단에 필요한 밸브를 만드는 회사예요.

알래스카 관련주

하이스틸 역시 철강 기반 강관 제조업체로, 최근 이슈에 편승해 급등세를 보이고 있어요.

 

여기에 미국에 생산 공장을 보유한 넥스틸, 휴스틸, 세아제강도 주목해야 해요.

트럼프가 철강 수입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미국 현지에 공장을 가진 이들 기업은 관세 우회 효과로 수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알래스카 관련주

 

대형 종목 중에서는 한국가스공사와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언급되고 있어요.

한국가스공사는 LNG 수입·공급을 담당하는 공기업으로, 정부가 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경우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회사예요.

다만 부채 비율이 높아서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할지는 미지수예요.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천연가스 트레이딩과 에너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어요.

모회사인 POSCO홀딩스가 70% 이상 지분을 갖고 있기 때문에, 테마가 이어지면 양사 모두 수혜가 가능할 거예요.

알래스카 관련주

트럼프의 진짜 속내는 뭘까요?

트럼프의 이번 발언은 단순한 경제 프로젝트라기보다 무역 전략과 연관된 메시지라는 분석이 많아요.

한국과 일본은 LNG 수입국 상위권에 드는 주요 고객인데요,

미국 입장에선 이들에게 자국 에너지를 팔아 무역수지를 개선하려는 의도가 분명히 보여요.

 

즉, 알래스카 가스관은 에너지 수출 + 무역적자 해소 + 미국 내 일자리 창출이라는

세 가지 카드를 동시에 노리는 정치적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예요.

 

또한 철강 관세와 연결해 보면, ‘채찍과 당근’을 동시에 쓰는 트럼프식 외교 전략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죠.

한국 기업들이 미국에 공장을 두게 유도하면서, 동시에 자국 프로젝트에 자금을 유입시키려는 이중 전략인 셈이에요.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지금 당장은 트럼프의 발언 하나로 인해 주식시장이 요동쳤지만,

실제로 프로젝트가 진행될지 여부는 아직도 불확실해요.

한국 정부와 주요 기업들의 참여 여부가 확정되지 않았고, 경제적 타당성 문제도 여전히 남아있어요.

 

하지만 미국 에너지 정책이나 트럼프의 외교 전략을 보면,

단기 이벤트로 끝날 가능성도 낮지는 않아요.

무작정 따라가기보단 뉴스 흐름을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각 기업의 실제 수주 가능성과 실적 반영 여부를 신중히 살펴보는 게 중요해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