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상업그레이드5

미국 연봉 높은 직업 순위 top10 의사연봉 미국의 높은 연봉이 높은 직업 순위 ranking 10위부터 1위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의 직업 선택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 돈? 명예? 안정성? 이외 많은 것들이 있겠죠. 그 기준들 중에 많은 사람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도 돈 입니다. 미국에서 가장 연봉 높은 직업의 순위를 알아보는 것은 곧 우리나라도 동일한 순위이거나 앞으로 비슷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미국 연봉 높은 직업 순위 top10 돈으로 행복을 살 수는 없지만, 돈은 확실히 삶을 더 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높은 연봉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하는 안정성을 제공하는 직업은 앞으로의 인생을 바꿀지도 모릅니다. 아래에 미국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직업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진로에 대해 고민 중인 학생이거나 제2의 다른 삶을 꿈꾸는.. 2023. 3. 15.
미국 차렌트 캘리포니아 dmv 필기시험(예상문제다운로드) 국제운전면허증으로 미국에서 운전할수 있을까요 ? 우리나라 면허가 있으면 미국 여행시 국제운전 면허증을 준비해서 가면 운전할수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일부 주에서는 그대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법적으로 문제가 없습니다. 2019년부터 미국 23개 주에서는 현지 면허증으로 교환해줍니다. 현지 면허로 교환해 주는 주 메릴랜드주, 버지니아주, 워싱턴주, 매사추세츠주, 텍사스주, 플로리다주, 오레곤주, 미시간주, 아이다호주, 앨라배마주, 웨스트버지니아주, 아이오와주, 콜로라도주, 조지아주, 아칸소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테네시주, 하와이주, 펜실베니아주, 위스컨신주, 오클라호마주, 아리조나주, 루이지애나주 *1년이 지나면 국제 운전면허증의 유효기간이 끝납니다. 미국 이외에도 다른 나라 국가도 함께 나와.. 2023. 2. 23.
미국이민 영주권과 시민권의 차이 취득방법 시험문제 다운로드 미국 영주권과 시민권은 어떻게 다를까요? 영주권은 무엇이고 시민권은 무엇일까요 ? 한 번쯤 해외에서 살아보고 싶다든지 이민에 대해서 생각해 봤을 때 쉽게 들을 수 있는 두 단어는 영주권과 시민권입니다. 저는 오래전 호주에서 워킹홀리데이로 지냈을때가 있었는데요. 당시에 영주권을 PR이라고 사람들이 많이 불렀습니다. Permanant resident의 약자인 걸로 기억합니다. 영구적으로 거주한다라는 영주권의 약자입니다. 이렇게 영주권은 영구적으로 해당국가에 거주할 수 있는 자격입니다. 미국으로 이민을 간다고 했을때 처음 영주권을 취득해야 합니다. 처음 영주권은 5년의 거주가 확정된 영주권이 나오고 (결혼으로 받는 건 3년이라 합니다 ) 이후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는 권한이 생긴다고 합니다. 저는 영주권 취득.. 2023. 2. 8.
EB3미국이민절차#2_잡인터뷰 고용주와 인터뷰 지난번에 미국 이민결심과 진행을 시작한 이후로 다음 단계인 고용주와 인터뷰를 마쳤습니다. 제가 진행하는 이민회사에서 한국에서 미국 영주권을 받고 가는 EB3 고용주들중에 가장 빠르게 갈수 있는 호텔 고용주와 진행을 하는데 이미 앞부분의 단계가 들어가 있어서 바로 고용주와 인터뷰 날짜부터 잡아줬어요. 이민회사를 고르고 골랐는데 상담도 많이 다녔는데 제가 가장 걱정했던 부분은 연락이 잘되는지, 계속해서 케어가 되는지였는데 시작한지 얼마 안됬긴 했지만 계속해서 연락을 주시고 고용주와 인터뷰도 회사덕분에 잘 마칠수 있었던것 같아요. 영어는 의사소통에는 문제는 없지만 그래도 "인터뷰" ,"면접"이라고 하니 신경이 쓰이더라구요 저는 알바면접도 일단 면접이라는 단어가 붙으면 신경이 많이 쓰이는 성향이라 회사에 이것저.. 2022. 12. 15.
미국이민가는방법 1. 결심 _ 미국 영주권 받는 방법 및 정보 알아보기 저는 20대의 대부분은 해외에서 보내며 앞으로도 한국에서 반정도 살고 외국에서 반정도 살면 좋겠다는 꿈이 있었는데 코로나 이후로 한국에서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지내고 있습니다. 19년도 부터 22년 딱 4년을 지냈네요. 이렇게 지내다 보니 사실 이렇게 지내는것도 괜찮은데 라는 생각도 들고 사실 한국만큼 살기 편한곳도 없는것은 이미 해외에 나가서 살아본 경험으로 잘 알고 있습니다. 제가 제일 편해하는, 대중교통, 택배, 배달 병원 관공서 생활에서 크게 불편함이 없고 가족과 같은 나라에 살구요. 하지만 30대 중반에 또 해외에 나가서 ? 한국에서 하던일을 다 접고 ? 결정도 쉽지않았고 어딜갈지 정하는것도 어떻게 가야할지도 막막했습니다. 아마 저같이 막막해 하시는분들이 많지만 그래도 이번생에 꼭 한번 가야겠다는.. 2022. 1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