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저장해야할 꿀팁

김선휴 변호사 프로필 윤석열 변호인단 최연소

by 출국전 2025. 2. 19.
반응형

김선휴 변호사 "불확실한 미래 속에서도 제가 지키고 싶은 가치는 분명합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 심판에서 국회 측 변호인으로 활약하고 있는 김선휴 변호사는 안정된 지위를 뒤로하고, 인권과 공익을 위한 길을 선택한 법조인이에요.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이라는 자리를 내려놓고 참여연대에 합류한 그녀의 선택은, 단순한 직업의 변화가 아니라

"옳은 길"을 향한 도전이었어요.

김선휴 변호사 증거목록 제시 이렇게?

 

김선휴 변호사의 학력과 경력

✔ 학력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학과 학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석사 (헌법 전공)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박사 수료 (헌법 전공)

사법연수원 제40기 수료

김선휴 변호사 자세한 프로필 바로가기

 

✔ 법조 경력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 (2011~2015)

참여연대 공익법센터 간사/변호사 (2015~2018)

법무법인 이공 변호사 (2019~현재)

"

 

✔ 주요 활동

참여연대 공익법센터 운영위원 (2020~현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명예훼손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21~현재)

법제처 법령해석심의위원회 위원 (2022~현재)

공익 변호사의 길을 선택한 이유

김 변호사는 처음부터 인권·공익 변호사를 꿈꿨던 것은 아니었어요. 하지만 대학 시절 안산 외국인 노동자 센터에서의 자원봉사 경험이 그녀의 인생을 바꿔 놓았죠.

 

"그곳에서 ‘법률지식을 가진 변호사가 있다면 큰 도움이 될 텐데’라는 말을 듣고, 인권이라는 단어가 마음 깊이 울렸어요."

 

그녀는 사법시험에 합격한 후 헌법재판소에서 연구관으로 근무하며 기본권 보호의 중요성을 깨달았어요. 하지만 마음 한편에는 공익 변호사로서의 꿈이 자리 잡고 있었고, 결국 안정된 자리를 떠나 참여연대의 문을 두드리게 돼요.

"원래 가고 싶었던 길을 꼭 가봐야 미련이 없을 것 같았어요."

그녀의 도전에는 가족의 지지도 큰 힘이 되었어요. 특히 남편의 응원 덕분에 더 용기를 낼 수 있었다고 해요.

김선휴 변호사 참여연대에서의 활동

2015년, 김 변호사는 참여연대 공익법센터 간사로 합류하면서 다양한 공익 소송을 맡았어요. 그중에서도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은 2016년 촛불집회 금지통고 집행정지 사건이에요.

 

"청와대 100m 앞까지 시민들이 행진할 수 있도록 밤낮없이 준비했어요. 경찰의 집회 금지 통보에 맞서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했고, 결국 행진이 허용됐어요."

 

그녀는 이 사건을 통해 법이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지를 체감했고, 공익 변호사의 역할에 대한 확신을 더욱 굳히게 되었어요.

김선휴 국회 측 변호인으로서의 역할

현재 김선휴 변호사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에서 국회 측 변호인으로 활동하고 있어요. 탄핵 심판이라는 중대한 사건에서 법률적 논리를 정리하고, 헌법적 쟁점을 분석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죠.

 

법과 헌법 정신을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공정한 재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해요.

 

💡 법조인들에게 전하는 메시지

김 변호사는 더 많은 법조인들이 공익 활동에 관심을 가지길 바라요.

"전업 공익변호사가 아니어도 괜찮아요. 1년에 단 한 건의 공익 소송을 맡는 것만으로도 큰 힘이 됩니다."

법조인의 작은 실천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믿음, 그것이 그녀가 지금까지 걸어온 이유이자 앞으로 나아갈 방향이에요.

 

🎓 전문 분야

✔ 헌법소송

✔ 명예훼손 및 정보통신법

✔ 개인정보 보호

✔ 선거법

 

김선휴 변호사는 앞으로도 헌법과 인권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노력할 거예요. 사회적 약자를 위한 법률 지원과 공익 소송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힘쓰고 있죠.

 

그녀의 이야기는 ‘안정된 길’이 아닌 ‘옳은 길’을 선택한 법조인의 진정성 있는 여정이에요. 앞으로도 그녀의 발걸음이 법과 정의를 향한 길을 밝히길 기대해 봐요.

김선휴 변호사

반응형

댓글